안녕하세요 터틀머니입니다.
이번에는 그랜빌의 법칙을 상세히 다뤄보겠습니다.
2025.04.12 - [기술적 분석모음/이동평균선 매매법] -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안녕하세요 터틀머니입니다.이번에는 주식 차트의 기초중의 기초 골든,데드크로스에 대해서 더 딥하게 설명해보겠습니다. 앞선 글에서 언급했듯이 현재의 가격이 이동 평균선의 위에 있느냐
roll99.tistory.com
전에 작성한 글과 연관성이 높으니 궁금하신 분은 한번 읽어주세요
그랜빌의 법칙은 총 8가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4가지의 매수와 4가지의 매도법칙이 존재합니다.
매수의 조건은 이동평균선이 한동안 하락하고 있으며 이동평균선 하락이 멈출 것으로 예상되는 조짐이 있을 것
위 두 가지가 대전제입니다.
대부분 막연히 단기선이 장기선을 아래에서 위로 뚫고 지나가는 것이라고 생각하는 사람이 많은데 이것은 오신호를
범하기 쉽습니다.
매수 법칙 1 (전형적인 골든크로스)
위의 그림처럼 가격이 꾸준히 하락기조에 있다가 상승할 조짐이 있으면서 이동평균선을 뚫고 위로 올라가는 모습입니다.
이것이 그랜빌의 법칙 1번입니다
위의 사진은 테슬라의 차트입니다. (동그라미 친 부분이 골든크로스)
대전제처럼 단순히 가격이 이동평균선을 올라가는 것이 아니라 꾸준히 하락기조에 있어야 합니다.
차트를 확대해서 보면 하루이틀 하락한 것이 아니라 꾸준하게 하락기조에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럴 때 법칙이 성립됩니다. 하루 만에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를 왔다 갔다 하는 건 박스권에서의
횡보기 때문에 추세자체가 명확하지 않아서 성립하지 않습니다.
제가 쓴 미국시황정리 글에 보면 추세가 명확해지면 매수해도 늦지 않는다라고 말씀드린 적이 있는데
이게 바로 위에 그랜빌 법칙 1번을 따라 하는 것이라고 보시면 됩니다.
매수 법칙 2 (가짜데드크로스)
언뜻 보면 데드크로스처럼 보이지만 데드크로스가 아닙니다.
올바른 데드크로스는 이동평균선이 하락기조로 가거나 횡보해야 하는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아울러 가격이 위에서 아래로 뚜렷하게 교차해야 합니다.
위의 그림은 상승추세가 계속되는 상황에서 눌림목이므로 매도가 아닌 매수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기세를 잃어 하락으로 전환도시 기도하기 때문에 엄청 공격적으로 나서서 매수할 상황은 아닙니다.
이럴 때는 장이 어떻게 돌아가는지와 기업의 실적을 체크하면서 판단을 해야 합니다.
위의 차트는 셀레스티카의 날차트입니다. 이동평균선의 대순환분석도 여기서 참고해야 하지만
일단은 매수법칙 2번에 대해서 설명드리자면 동그라미 친부분을 보시면 언뜻 보면 데드크로스로 보이지만
주가가 다시 올라가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솔직히 저 모습만 그리고 다 나온 차트 가지고 하면 무슨 소용이 있겠냐 싶지만 오신호를 줄일 수 있는 건
이동평균선+보조지표+차트패턴+캔틀차트+기업펀더멘탈=주가분석 이렇게 하는 거기 때문에 많은
연습이 필요합니다.
추세선을 그려봤습니다. 상승추세에 있어서의 데드크로스기 때문에 홀딩을 해도 좋다고 판단한 모습이지만
추세선을 깨고 내려오면서 다시 하락추세로 간모습이 보입니다. 이건 매도의 신호에서 자세히 다뤄보겠습니다.
포인트는 추세가 상승인지? 하락인지? 이동평균선의 기울기와 간격 배열순서가 어떤지 모든 걸 확인해야 합니다.
매수 법칙 3 (눌림목에서의 매수)
포인트 부분을 보시면 간격이 좁아지고 있습니다
간격이 좁아지는 이유는 가격상승동력이 없기 때문입니다. 즉 매수세가 별로 없기 때문입니다.
만약 해당기업의 실적이나 펀더멘탈이 좋아진다면 매수세가 강하기 때문에 간격은 넓어질 겁니다.
가격이 안정적으로 상승하고 있을 때는 가격과 이동평균선이 평행하게 상승합니다.
그리고 이때 가격은 이평선보다 위에 위치합니다.
(이동평균선은 수일동안의 평균값이므로 당연히 가격아래에 위치하는 게 맞습니다 :이것을 이평선의 지효성이라고 합니다)
만약 하락추세라면 가격은 이동평균선 아래에 존재합니다.
1번과 2번은 눌림목에서의 매수 (그랜빌의 법칙 3번) 그리고 3번은 그랜빌의 법칙 2번 (가짜 데드크로스)
여기서 눈치채신 분은 있겠지만 20일선이 아니라 60일선과 120일선이 상승추세인 모습인 것을 보 실 수 있으실 겁니다
샘플이라서 60일선과 120일선인데 저는 40일선과 120일 선도 추가합니다.
매수 법칙 4 (급락 후의 매수신호)
예전에 쓴 글을 보시면 주가는 되돌아오려는 성질을 가진다고 말씀드린 적이 있습니다.
이때 비율을 따져서 피보나치비율이라는 성질도 있는데 이건 다음번에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이동평균선은 괴리율이 존재 : (당일의 종가-이동평균값) / 이동평균값 x 100입니다
이동평균은 문자 그대로 평균이라 괴리된 가격은 원래대로 돌아오려는 성질을 가집니다.
만약 가격이 일정각도, 이동평균일정각도라면 괴리는 일정합니다.
이때 급락하면 괴리되지만 이런 상태가 절대로 계속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굉장히 까다롭기 때문에 어느 정도 벌어지면 다시 가까워지는지? 가 명확하게 정해져 있지 않아서
웬만하면 참고하는 정도로만 사용하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1번과 2번 보이실 겁니다. 저의 글을 보신 분은 아시겠지만 제가 시황분석 글 중에서 NVDL을 매수한다고
했던 적이 있습니다.
2025.04.13 - [글로벌 경제와 뉴스] - 대형호재 떴다 내일 갭상승으로 출발하나?
대형호재 떳다 내일 갭상승으로 출발하나?
글 보시기전에 구독버튼 한번만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글 작성하는데 큰 힘이됩니다! 안녕하세요 터틀머니입니다. 주말동안 좋은소식이있었습니다. 일단 NVDL 몇일전에 작성한 글에서 NVDL
roll99.tistory.com
4월 13일 날 쓴 글인데 제가 들어간 이유가 차트가 괴리율이 너무 심해서 들어갔는데
들어간 근거가 위에 글처럼 매수법칙 4와 일치해서 들어갔습니다.
당연히 죽을 자리 그러니까 로스컷을 걸어놓고 진행했습니다. 뭐 운 좋게 벌긴 벌었는데
MACD , RSI , 스토캐스틱, 캔들차트, 이평선간격 기울기 다 따지면서 해야 하는 거라 머리 아픈 매매법입니다.
매수법칙 4가지의 대해서 설명드렸습니다.
솔직히 말해서 웬만하면 매수법칙 1번만 놓고 꾸준히 모아가면 되긴 합니다. 알아보기도 쉽고 눈으로 딱 딱 보이기 때문에
참고할 만 내용도 그렇게 크지 않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알면 알수록 공부하면 공부할수록 그리고 사람인지라
욕심도 생기기 때문에 다른 내용도 알게 되면 어? 이거 어디서 많이 봤는데 이런 식으로 매매하다가
물리고 탈출 물리고 탈출
수익이 아니라 본전만 찾고 바로 나오는 이렇기 때문에 많은 돈을 투입하는 게 아니라 본인 시드의 5~10% 정도만 단타 하실 분은 적당히 먹고 빠지는 게 가장 좋습니다. 보통 저는 레버리지 2배를 사용하는데 죽을 자리를 확실하게 하지 않으면
단타는 결국 손실만 남을 겁니다. 하여 본인의 원칙을 정확하게 잡고 들어가시는 걸 추천드립니다.
단타, 스캘핑 전부 다 해봤는데 결과적으로 큰 수익을 가져다준 건 천천히 모아가면서 2~3년 들고 간 주식이
가장 수익이 좋았습니다.
다음번에는 매도법칙 4가지에 대해서 작성해 보겠습니다.
'기술적분석모음 > 이동평균선 매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동평균선 그랜빌의 법칙 중 매도신호를 알아보자 (1) | 2025.05.11 |
---|---|
골든크로스와 데드크로스 (2) | 2025.04.12 |
이동평균선 투자기법의 베이스 (2) | 2025.04.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