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터틀머니입니다.
한주동안 내용을 정리하면서 다음주에는 무슨발표가있는지 확인해보겠습니다.
주요 지수 동향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619.05포인트 (+1.56%) → 40,212.71
S&P 500 지수: +95.31포인트 (+1.81%) → 5,363.36
나스닥 종합지수: +337.14포인트 (+2.06%) → 16,724.46
이번 주간 기준으로는 S&P 500이 5.7%, 다우가 5%, 나스닥이 7.3% 상승하며 2023년 이후 최대 주간 상승률을 기록했습니다.
그러면 어제 상승한 요인에는 뭐가있을까요?
1. 연준의 시장 안정화 의지: 보스턴 연준 총재 수잔 콜린스는 시장 불안 시 연준이 개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혔습니다.
2. 1분기 은행 실적 호조: JPMorgan Chase, Morgan Stanley, Wells Fargo 등이 예상보다 높은 실적을 발표하며 투자 심리를 개선했습니다.
- 매출: 460억 1,000만 달러 (예상치: 441억 1,000만 달러)
- 순이익: 146억 4,000만 달러
- 주당순이익(EPS): 5.07달러 (예상치: 4.61달러)
3. 생산자물가지수(PPI) 하락: 3월 PPI가 예상보다 낮게 나오며 인플레이션 완화 기대감을 높였습니다.
- PPI 전월 대비 변동률: -0.4% (예상치: +0.2%)
- PPI 전년 동월 대비 변동률: +2.7% (예상치: +3.3%)
- 근원 PPI 전월 대비 변동률: -0.1% (예상치: +0.3%)
연방준비제도이사회(Fed)는 이러한 경제 상황을 면밀히 주시하고 있으며, 시장에서는 올해 말까지 기준금리를 100bp 인하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반대로 우려하는 요인도있습니다.
- 미·중 무역 긴장 고조: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를 145%로 인상하자, 중국도 미국산 제품에 125%의 보복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 채권 시장 변동성 확대: 10년 만기 미국 국채 수익률이 4.58%까지 상승했다가 4.48%로 마감했어습니다. 이는 금융 시스템의 스트레스를 반영하는 신호로 해석으로 볼 수 있습니다.
- 소비자 심리 악화: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가 급락하며, 향후 1년간 인플레이션 기대치가 6.7%로 상승했습니다.
어제 글에서 미시간대 소비자 심리지수가 안좋을거 같다고 얘기했는데 역시 예상대로 인플레이션 수치가 너무 높아졌네요
하지만 시장에서는 연준의 발언의 트리거 때문이지 아니면 이제는 기대치를 낮추고 있어서 그런지 엄청나게 낙폭으로
떨어진건 아닌거같습니다. 오히려 상승마감했습니다.
참고할 만한 소식 정리
3월 PPI·CPI 모두 예상 하회, 하지만 시장 반응은 미지근
- 3월 생산자물가지수(PPI)도 예상을 하회하며 인플레이션 완화 흐름 확인.
- 그러나 장기채 금리는 반응이 약하며, 증시 역시 모멘텀을 받지 못하는 상황.
- 불안 요인: 물가 지표가 연이어 잘 나왔음에도 채권 시장이 힘을 못 받는 모습, 시장 내 불신 여전.
DRAM 가격 급등 – 관세 시행 전 '사재기 수요' 집중
- 3월 말부터 DRAM 가격이 급등, 이는 트럼프발 관세 우려로 인한 선제적 주문 때문으로 추정됨.
- 실적 반영 시점은 2분기로 예상되며, 레거시 반도체 기업들의 어닝 서프라이즈 가능성이 높아짐.
대만 AI 서버 ODM 3월 매출 '폭발' – 펀더멘탈은 여전히 탄탄
- Wiwynn을 비롯한 대만 AI 서버 제조사들의 매출이 전년 대비 76% 증가, Wiwynn은 무려 214% 급등.
- AI 수요에 따른 서버 투자 확대가 본격화되고 있음.
- 단점: 좋은 실적에도 불구하고, 관세 불확실성 탓에 주가가 눌려 있는 상황.
SK하이닉스, 설비투자 30% 확대
- 2025년 설비투자 규모를 작년 대비 30% 확대 예정.
- **대형 고객사(엔비디아, 브로드컴 등)**의 수요 증가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조치.
아크인베스트의 거래내역입니다. 코인베이스와 템퍼스 ai를 추가매수했습니다.
다음주 월요일 14일의 주요일정입니다.
23:00 - 미국 - 3월 뉴욕연은 기대인플레이션 ★★
너는 어떻게 생각하냐?
어느정도 적응이 된걸까요? 미시간대발표로 인해서 기대 인플레이션 수치가 엄청나게 높아졌는데도 불구하고
증시는 상승마감했습니다. 연준의비둘기파적인 발언도 한목했지만 CPI와PPI수치가 좋게나온것도 한 몫 했다고볼 수 있습니다.
그래도 아직까지는 추세자체는하락추세입니다. 중국과의 관세자체가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계속해서 중국과 대화를 준비중이다. 이어가고있다. 라면서 발언하고있습니다.
개인적인 생각이지만 조만간 원만한 합의점이 도출되지않을까 생각합니다.
트럼프가 주식시장을 생각하고 모니터한다는 멘트를 몇일전에 던졌고 시장참여자들의
우려섞인 목소리를 그냥 무시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닌만큼 말 한마디에 왔다갔다 하는걸 트럼프본인은 이미 알고있다고 생각합니다.
중국이 정치국회를 앞당겨서 개최할 소식이 들려왔습니다.
이례적인 사례인데 본인들도 어찌보면 굉장히 다급하다고 시장에서는 해석하고있습니다.
주식과 채권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채권이 좋았는데도 주식장은 못가는건 아직 불확실성이 해소되지않았기때문입니다.
주식은 갓난아기같다고 저는 항상 생각합니다.
조금만 삐끗하면 바로떨어지고 굉장히 예민하다고 표현을 합니다.
추가적으로 저의 배당금 프로젝트를 보신분들은 아시겠지만 C그룹과 D그룹의 매수를 하지않았는데 어제는 D그룹 몇일전에는 C그룹을 매수함으로써 완료했습니다(CONY 100주 추매 , MSTY 50주추매) . 이번에 D그룹의 MSTY는 한주당 세전 1947원으로 확정됐습니다.
(배당락 4월10일) 세후로 계산하면 50주를 현재 보유하고 있는 저는 83,622원이 예상됩니다.
이제 슬슬 매주 10만원 이상씩 받을 수 있는 포트폴리오가 완성된거같습니다.
4월달에 배당금 전부를 받으면 배당금 관련해서 글을 또 작성해보겠습니다.
글 내용이 도움이되셨다면 구독도 부탁드리겠습니다 글 작성하는데 큰 도움이됩니다!
'글로벌 경제와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호재가 많지만 아직 불확실성이 더 큰 힘을가진다. (4) | 2025.04.15 |
---|---|
대형호재 떳다 내일 갭상승으로 출발하나? (2) | 2025.04.13 |
왔다갔다 왔다갔다 (3) | 2025.04.11 |
드디어 반등의 서막인가? (4) | 2025.04.10 |
이제 하락장의 시작인가? (1) | 2025.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