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경제와뉴스

꼬리내리는 트럼프

TurtleMoney 2025. 4. 25. 17:21

안녕하세요 터틀머니입니다.

 

전일 미증시는 어떤 일이 있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S&P 500: 2.0% 상승하여 5,484.77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이는 최근 하락세에서 벗어나며 3일 연속 상승한 결과입니다.

 

나스닥 종합지수: 2.7% 상승하여 17,166.04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기술주의 강세가 지수 상승을 이끌었습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 1.2% 상승하여 40,093.40포인트로 마감했습니다.

 

기술주 실적 호조: ServiceNow와 Southwest Airlines 등 주요 기업들의 1분기 실적이 시장 예상치를 상회하며 투자 심리를 개선시켰습니다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 미국과 중국 간의 무역 협상에 대한 긍정적인 전망이 시장에 반영되며 투자자들의 불확실성이 다소 해소되었습니다.

 

월가가 상승에 베팅을 했습니다. 사흘 째 폭등 중입니다.

 

어제 트럼프 대통령은 행정부가 중국과 소통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베센트 재무장관은 협상이 아직 시작되지 않았다고 밝혔는데 둘의 멘트가 다릅니다.

이에 대해 중국정부는 24일 미국과 협상이 진행 중이지 않다고 공식 부인했습니다.

 

중국은 미국이 진정 문제를 해결하고자 한다면 일방적인 관세조치를 철회해야 한다고 밝혔습니다.

 

기관 및 투자자들은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에는 본인의 의지를 후퇴한다는 거에 베팅이 확대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일단 몇 가지 증거가 있습니다.

 

지지율의 급락

여론조사에서 트럼프 지지율은 40%대를 기록했습니다. 한 달 전에는 49 % 정도였는데 현재 기준 5~6% 포인트가 떨어졌습니다.

조 바이든 , 버락오바마 , 부시와 비교했을 때 현저히 (취임 100일 차) 낮은 수치를 기록했습니다.

트럼프 1기 때와 비교해도 현재 수치는 1~2% 정도 낮은 수치입니다.

 

지지율은 48%에서 44%로 점차 하락하고 있으며, 부정 평가율은 49%에서 53%로 상승 중입니다.

 

투자심리의 악화

bof가 1분기 어닝시즌에서 기업들의 컨퍼런스콜을 분석한 결과 긍정과 부정의 의견이 2009년 이후 최악으로 나타났습니다.

 

경제의 악화

3월 기존 주택매매는 전달보다 5.9% 감소했습니다

 

2025년 3월 미국의 기존 주택 판매는 전월 대비 5.9% 감소하여 연율 환산 402만 건을 기록했습니다. 이는 2022년 11월 이후 가장 큰 월간 감소폭이며, 3월 기준으로는 2009년 이후 최저 수준입니다

주택판매

금리 상승과 경제 불확실성: 3월의 판매 감소는 높은 모기지 금리와 경제적 불확실성으로 인한 구매자들의 신중한 태도에서 비롯되었습니다.

재고 증가에도 불구하고 판매 부진: 재고가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판매가 감소한 것은 구매자들이 가격 조정이나 금리 하락을 기다리며 관망세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희토류 문제

희토류는 미국 경제활동에 필수적인 요소입니다. 기업들은 재고에 의존하고 있는데 이것도 얼마나 가지 못할 거라는 평이 나왔습니다. 결국 중국과의 무역갈등해소가 빨리 돼야 한다는 뜻으로 보고 있습니다.


전일 미증시 요약

반도체 업종의 호재

텍사스 인트루먼트가 1분기 어닝 서프라이즈를 기록하며 반도체 업종에 긍정적 영향

특히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가 2.7% 상승하는 등 긍정적인 흐름을 보였습니다.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에 대한 145% 관세를 재검토하고, 연준 의장 해임 위협을 철회하는 등 강경한 무역 정책에서 한발 물러나는 모습을 보이면서, 시장의 불확실성이 완화되었습니다.

 

방어주 및 저변동성 자산의 강세

시장 변동성이 높아지면서 투자자들은 코카콜라, 존슨앤존슨 등 저변동성 방어주에 관심을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종목들은 시장 불안정성 속에서도 상대적으로 안정적인 수익을 제공하고 있습니다.

 

관세로 인한 기업 실적 하락

도이체방크는 미국의 공격적인 관세 정책이 기업 실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S&P 500의 연간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기존보다 15% 낮춘 $240로 조정하였으며, 이는 전년 대비 5% 감소한 수치입니다.

 

헤지펀드의 대규모 매도

JP모건에 따르면, 최근 미국 주식 시장의 하락은 외국인 투자자가 아닌 헤지펀드의 대규모 매도에 기인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특히 소비재 및 기술주 중심의 매도가 두드러졌습니다.

 

소비심리 위축

골드만삭스의 보고서에 따르면, 소비재 섹터에 대한 헤지펀드의 매도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는 소비심리 위축과 경기 둔화에 대한 우려를 반영한 것입니다. 미국 소비자신뢰지수는 4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너는 어떻게 생각하냐?

 실적 호조로 반도체 업종에 훈풍이 부는 가운데, 트럼프는 중국에 관세 완화를 미끼로 협상을 유도하고 있으나, 중국은 협상 의지조차 없다는 강경한 태도를 고수 중입니다. 미중 간 힘겨루기가 더욱 첨예해지는 국면입니다.

 

이런 국면에서의 반등은 의미를 두기 어렵습니다. 시장은 명확한 방향성 없이 애매한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사람은 적응의 동물이라지만, 지금은 트럼프의 멘트 하나하나에 과도하게 반응하기보다는 시장 자체의 흐름에 집중해야 할 때입니다.

요즘처럼 작은 호재에는 급등, 작은 악재에는 급락하는 불안정한 시장에서는 매수와 매도를 자제하는 것이 현명합니다. 저 역시 현재는 매수를 멈추고 관망 중입니다.

 

4일 연속 상승이 이어지며 “아, 못 샀는데 어쩌지? 더 올라가버리면 어쩌지?”라는 생각이 들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바로 그럴 때가 가장 조심해야 할 시점입니다.

기회는 반드시 다시 옵니다. 싸게 살 수 있는 구간으로 볼 수도 있지만, 진짜 추세가 잡혔을 때 매수해도 절대 늦지 않습니다.

 

 

'글로벌 경제와뉴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나쁜소식에서 희망찾기  (1) 2025.04.29
꽃길인가 아직아닌가  (2) 2025.04.26
기다린다 트럼프풋  (2) 2025.04.24
트럼프 드디어 정신차린건가?  (0) 2025.04.23
트럼프의 시장흔들기  (2) 2025.04.22